티스토리 뷰
AWS EC2를 떠나보내며..
AWS EC2의 무료 사용기간이 만료되어 눈물을 머금고 삭제를 하였습니다.(물론 자료들은 다 가져왔습니다) 다시 EC2를 이용해 볼까 하다가 네이버 클라우드가 눈에 들어왔고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도 무료로 제공하는 옵션이 있고 가입시 크레딧도 30만 크레딧이나 준다고해서 가입을 해봤습니다.
인증과정이 많은 네이버 클라우드
가입을 하면서 거치는 인증과정이 3개 정도 됐던것 같습니다.(2개 일수도 있습니다) 아마도 3개라고 생각하는게 결제 카드를 입력할 때 월/ 년도 적는 부분에서 카드에 나와있는데로 쭉 적었다가 다시 한 것 같기도 합니다. 아무튼 잡담이 많아졌네요!
[vCPU 1개, 메모리 1GB, 디스크 50GB]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에서 무료로 제공되어지는 사양입니다. 공부하면서 이것 저것 해보기에는 충분합니다. 30만 크레딧도 주고있으니 사양이 더 좋은걸 쓰고싶다면 몇 달이나마 써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입을 다 끝내고 크레딧도 받고 난뒤에 서버 생성을 눌러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선택란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전에도 우분투를 사용하였으므로 빨간 동그라미를 선택하였습니다.
다음을 눌러 <서버 설정>으로 넘어왔습니다. 무료로 제공되는 서버는 앞서 알아보았던 Micro [vCPU 1개, 메모리 1GB, 디스크 50GB]이며 HDD만 무료제공합니다. 따라서 해당 설정을 확인하고 요금제 선택에 월 0원을 확인한 뒤 서버의 이름을 정해주고 메모를 해놓을 내용이 있다면 적어둔 뒤, 다음을 눌러 이동해줍니다. 실수로 삭제해도 괜찮고 실수로 삭제 할 일도 없어 반납 보호는 해제로 체크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서버에서 사용할 인증키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인증키 생성 및 저장>을 눌러 인증키를 생성해줍니다. 이 인증키는 재생성이 절대로 안되므로 절대 잃어버리지 않을 폴더에 저장을 해두셔야합니다.
인증키 생성을 완료하고 저장된 키를 원하는 폴더로 옮겼다면 다음을 눌러 넘어갑니다.
다음으로 ACG(Access Control Group) 선택란이 나오게됩니다. ACG는 여러 서버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그룹으로 묶어 포트 개방등을 한 번에 하기 위해서입니다. 기존에 있으면 기존걸 사용하면 되지만 처음 만드는 것이므로 기본 값을 선택한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앞서 선택했던 내용들을 요약해서 보여주며 쭉 읽어본 뒤 아래의 서버 생성 버튼을 눌러주면 서버가 생성됩니다.
생성 버튼을 누른 뒤 시간이 소요된다고 나오고 안내메시지가 나옵니다 확인을 누르면 서버의 목록으로가고 서버 상태에서 생성중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설정중으로 바뀐뒤 전부 완료되면 운영중으로 바뀌게 됩니다. 작은 무료 클라우드 서버이므로 금방 진행됩니다.
운영중으로 바뀌면 생성이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Putty로 접속을 하기위해 위에 이미지에 나와있듯이 포트포워딩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운영중으로 바뀐뒤 해당 서버 목록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포트포워딩 란을 보실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 정보 옆에있는 새창으로 보기를 클릭해 줍니다.
위의 안내란에서 1,024 ~ 65,534 를 사용하라고 하였으므로 그 중 하나를 선택해줍니다. 저는 1,024를 적어 넣고 추가해주었습니다. 추가를 누른뒤 아래쪽의 적용 버튼을 눌러주어야 적용이됩니다. 노트북이라 밑이 짤려 추가를 누르고 화면을 껏더니 계속 적용이 안되어서 보니 아래에 적용 버튼이 따로 있었습니다. 적용후 서버의 목록을 보면 아까 포트 포워딩 란에 외부 포트가 추가 된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은 마쳤으나 안내에 ACG 설정도 해주라고 되어있으므로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서버 상세정보에서 포트포워딩 아래 쪽에 위치해 있는 ACG란에서 마찬가지로 새창으로 열기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좌측 위의 ACG 설정을 눌러줍니다.
설정란을 보면 Putty를 사용하는 필요한 22번 포트는 이미 적용이 되어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 주로 사용되는 아파치 서버와 톰켓 서버 그리고 나중에 사용할 Mqtt 포트를 추가하였습니다.
추가를 한 뒤 아래의 적용 버튼을 눌러야 저장이됩니다. 이제 포트 설정을 모두 마쳤으니 비밀번호를 설정해보겠습니다. 다시 서버 상세 설명 쪽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을 눌러줍니다.
그 후 다음과 같이 앞서 저장해 놓았던 인증 Key를 지정된 곳에 끌어다놓아 줍니다.
그 후 비밀번호 확인을 누르시면 Key를 확인 한 후 비밀 번호를 알려줍니다.
이제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하고, 비밀번호 까지 알아내었습니다. 서버 상세설명의 포트포워딩란의 공인 IP와 외부 포트번호를 가지고 Putty를 가지고 접속하시면 됩니다.
우분투에 관한 초기 설정은 저는 항상 아래의 링크를 보고 하고 있습니다.(문제가 될시 삭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FTP 접속오류(보안되지 않은 서버입니다.) (0) | 2018.04.11 |
---|---|
[MySQL]"#1045 MySQL 서버에 로그인할 수 없습니다" 오류 문제 (0) | 2018.04.02 |
[Linux 라즈비안] Editor gedit (0) | 2017.05.07 |
[AWS] Route 53 사용시 네임서버 ip 확인 (1) | 2017.04.18 |
- Total
- Today
- Yesterday